-
11
-
불교에서의 폭력과 평화
-
류제동;
;
(종교문화비평,
v.18,
2010,
pp.80-103)
-
12
-
초월적 실재로서의 일심(一心) - 월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불교관에 비추어본 대승기신론 이해 -
-
류제동;
서강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9,
2004,
pp.115-134)
-
13
-
전쟁과 폭력 그리고 종교 -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-
-
류제동;
서강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82,
2025,
pp.25-52)
-
14
-
A Study of the Hua-t’ou Method as a Way of Engaged Buddhism: With Reference to the Gongan (Kōan) of Baizhang’s Meeting with a Wild Fox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Buddhism
-
류제동,;
;
(人文社會科學硏究=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,
v.62,
2019,
pp.121-136)
-
15
-
유교와 불교의 상호이해 가능성의 기반에 관한 시론: 로저 에임스의 ‘인간으로 되어감(Human Becoming)’
-
류제동;
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소;
(孔子學,
v.0,
2016,
pp.261-289)
-
16
-
초월적 실재로서의 일심(一心) - 월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불교관에 비추어본 대승기신론 이해 -
-
류제동;
서강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9,
2004,
pp.115-134)
-
17
-
불교에서 전쟁의 정당화에 대한 소고 - 초기불교와 임진왜란을 중심으로
-
류제동;
금강대학교;
(불교연구,
v.0,
2009,
pp.111-140)
-
18
-
《축의 시대-종교의 탄생과 철학의 시작》을 읽고 - 카렌 암스트롱/정영목 옮김
-
류제동;
가톨릭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20,
2011,
pp.327-336)
-
19
-
⟨금강경⟩을 통해 배우는 삶의 기술
-
류제동;
카톨릭대학교;
(종교문화연구,
v.0,
2011,
pp.225-236)
-
20
-
불교에서의 폭력과 평화
-
류제동;
금강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18,
2010,
pp.80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