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일본의 침략주의와 문명론의 아포리아 : 福澤諭吉의 『文明論之槪略』과 그 동아시아적 계기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509-530)
-
12
-
『論語集註』의 문헌학적 읽기(2) -『論語集註大全』 「學而」편 1장 小註의 評釋과 刪定-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고전번역연구,
v.0,
2022,
pp.97-153)
-
13
-
‘文言ㆍ白話’를 넘어서 ―근대 중국에서 ‘국어’ 문제
-
류준필;
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6,
pp.163-207)
-
14
-
조선후기 문인 사회의 인정 욕망과 타자(성) ― 연암 박지원과 그 주변을 중심으로
-
류준필;
;
(국문학연구,
v.17,
2008,
pp.6-52)
-
15
-
중국 小學語文 교과서에서의 한시 교육과 그 특성 ― 한국 漢文科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모색을 위하여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중국문학,
v.54,
2008,
pp.289-312)
-
16
-
책판 제작의 사회·문화적 의의 ―19세기~20세기 초 영남 지방의 문집 간행 사례를 중심으로
-
류준필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97-132)
-
17
-
<益夫傳>의 서사적 특성과 기록성
-
류준필;
;
(한국문학논총,
v.32,
2002,
pp.5-142)
-
18
-
19C말 일본 대학의 학과 편제와 國學ㆍ漢學ㆍ東洋學의 위상
-
류준필;
;
(코기토,
v.65,
2009,
pp.199-234)
-
19
-
<論語>경학에서의 ‘學’ 개념과 그 인식 층위-조선 주자학자의 ‘學而時習之’章 주석을 중심으로-
-
류준필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0,
pp.113-155)
-
20
-
1910~20년대 초 한국에서 자국학 이념의 형성 과정 ― 최남선과 안확을 중심으로
-
류준필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05,
pp.35-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