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2/43 페이지
-
11.
- 정어리유 산화안정성을 위한 천연 항산화 물질 탐색
- 강동호
-
麗水大學校 産業大學院, 국내석사,
vi, 64p., 2003
-
12.
- 송담리ㆍ송원리유적 청동기시대 취락검토
- 오원철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6장, 2011
-
13
-
인터뷰-김천호 북경파리베이커리유한공사
-
박종신;
대한제과협회;
(베이커리 = Monthly bakery,
v.2002,
2002,
pp.73-73)
-
14.
- 하남 미사리유적을 활용한 향토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
- 고신애
-
국립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, 국내석사,
69장, 2024
-
15
-
서천 오석리유적 출토 토기복원
-
정광용;
강태춘;
임세진;
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;
강태춘도예스튜디오;
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팀;
(保存科學硏究 = Conservation studies,
v.28,
2007,
pp.105-119)
-
16
-
정어리유에 대한 탈색 및 탈취조건의 영향
-
Kim, Chul-Jin;
Ahn, Byung-Hak;
Hwang, Sung-Yeon;
Shin, Hyun-Kyung;
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;
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;
경희대학교 대학원;
한국과학기술원 식품생화학연구실;
(한국식품과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19,
1987,
pp.420-425)
-
17
-
정제정어리유에 대한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작용
-
지청일;
강진훈;
박영범;
이태기;
김선봉;
박영호;
국립수산진흥원 이용가공연구실;
고신대학 식품영양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25,
1992,
pp.325-330)
-
18.
- 부여 관북리유적 출토 백제 기와의 변천과 의미
- 안소망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7, 2021
-
19
-
금산 수당리유적 출토 철제유물의 금속학적 연구
-
박형호;
조남철;
이훈;
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6,
2013,
pp.134-149)
-
20
-
고산리유적 석기 검토
-
박성근;
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;
(한국신석기연구,
v.0,
2018,
pp.33-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