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라오콘의 절규와 호머의 방패 - 시학의 모든 장르는 우리를 더 나은 것을 만든다 - 레싱, 「함부르크 희곡론」
-
문광훈;
;
(카프카연구,
v.10,
2002,
pp.19-60)
-
12
-
[특집 :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나는 사람들/특집서문] '새로운 빈곤'과 사회적 시민권
-
문광훈;
;
(亞細亞 硏究,
v.47,
2004,
pp.7-17)
-
13
-
[특집-이라크 전쟁과 한반도 평화] 서문 - 전쟁과 평화 그리고 세계시민적 질서
-
문광훈;
;
(亞細亞 硏究,
v.46,
2003,
pp.7-20)
-
14
-
[특집 : 세계화와 문화현실] '세계화'와 예술문화 : 심미적 국가의 가능성
-
문광훈;
;
(亞細亞 硏究,
v.48,
2005,
pp.55-92)
-
15
-
해석과 반성의 동근원 : 문광훈, 『사무사(思無邪) : 김우창의 『궁핍한 시대의 시인』 읽기와 쓰기』(서울, 현암사, 2012)
-
김영희;
;
(코기토,
v.73,
2013,
pp.633-640)
-
16
-
‘그림언어’와 예술사의 의미
-
문광훈;
;
(헤세연구,
v.0,
2007,
pp.321-342)
-
17
-
현존적 항소 - W. G. 제발트가 쓰는 이유 -
-
문광훈;
;
(헤세연구,
v.0,
2015,
pp.265-287)
-
18
-
폐허에서 폐허로 - W. G. 제발트의 자연사적 인간사 이해 -
-
문광훈;
;
(헤세연구,
v.0,
2016,
pp.121-140)
-
19
-
비극적 행동과 인간 조건 - 헤겔 『미학』에서의 파토스 분석(2)
-
문광훈;
;
(헤세연구,
v.0,
2016,
pp.209-228)
-
20.
- 연변 조선족 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
- 문광훈
-
충남대학교, 국내석사,
, 20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