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백대진 단편소설 연구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142-163)
-
12
-
국토 여행과 ‘조선시’의 형식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1,
2007,
pp.155-174)
-
13
-
해방기 박태원의 문장론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0,
pp.177-208)
-
14
-
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6,
pp.199-223)
-
15
-
‘수필’ 장르의 명칭과 형식의 수립 과정
-
문혜윤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127-150)
-
16
-
여자 대학생의 온라인 게임 내 성차별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
-
이성희;
김다혜;
김소희;
김세림;
문혜윤;
박주완;
이수현;
조현아;
최유미;
남여정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경북대학교 간호대학;
(경북간호과학지,
v.23,
2019,
pp.28-39)
-
17
-
조선어/한국어 문장론과 문학의 위상-『문장강화』와『문장론신강』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07,
pp.233-254)
-
18
-
한자/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― 이태준을 중심으로
-
문혜윤;
성신여자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1,
pp.389-419)
-
19
-
백대진 단편소설 연구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142-163)
-
20
-
‘수필’ 장르의 명칭과 형식의 수립 과정
-
문혜윤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127-1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