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백대진 단편소설 연구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142-163)
-
12
-
국토 여행과 ‘조선시’의 형식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1,
2007,
pp.155-174)
-
13
-
해방기 박태원의 문장론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0,
pp.177-208)
-
14
-
문예독본류와 한글 문체의 형성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6,
pp.199-223)
-
15
-
‘수필’ 장르의 명칭과 형식의 수립 과정
-
문혜윤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127-150)
-
16
-
근대계몽기 여성 교과서의 열녀전(列女傳/烈女傳), 그리고 애국부인들—장지연의 『여자독본』을 중심으로
-
문혜윤;
경희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3,
pp.97-128)
-
17
-
서간 연구의 폭과 깊이 -김성수, 『한국 근대 서간 문화사 연구-서간·서간문학의 리터러시와 계몽의 수사학』, 성균관대 출판부, 2014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5,
pp.665-673)
-
18
-
해방기 박태원의 문장론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0,
pp.177-208)
-
19
-
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5,
pp.73-101)
-
20
-
조선어 문장 형성 연구의 향방 『문장강화』연구사
-
문혜윤;
고려대학교;
(상허학보,
v.42,
2014,
pp.93-1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