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쥬봉전 硏究- 崔尉子傳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3,
pp.320-348)
-
12
-
趙緯韓의 傳統文化에 대한 認識 - 崔陟傳을 중심으로 -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9,
pp.153-179)
-
13
-
朱鳳傳과 中國作品의 影響關係(2)-蘇知縣羅衫再合과의 影響關係를 中心으로
-
민영대;
한남대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6,
pp.129-160)
-
14
-
崔陟傳 작가, 趙緯韓의 문학에 대한 관심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3,
pp.197-223)
-
15
-
삼생옥초화젼에서 ‘三生’의 의미
-
민영대;
한남대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7,
pp.109-135)
-
16
-
趙緯韓의 여성에 대한 인식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71,
2012,
pp.149-177)
-
17
-
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2,
pp.51-78)
-
18
-
「崔陟傳」에 나타나는 중국적 요소와 작자의 의도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8,
pp.173-203)
-
19
-
삼옥초화젼과 우리 민속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53,
2007,
pp.155-185)
-
20
-
月峰記 연구
-
민영대;
한남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5,
pp.373-3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