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Worldwide ‘Red Age’ and Colonial-era Korea: An Attempt at Meta-historical Analysis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7,
2020,
pp.146-182)
-
12
-
모스크바에서의 한국사 연구 -소련 시기(1917~1991)를 중심으로-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233-262)
-
13
-
The Issue of Factionalism in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of the 1920s- early 1930s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5,
2018,
pp.152-183)
-
14
-
세계화 이후의 혼란기, 저항을 어떻게 할 것인가?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동방학지,
v.0,
2024,
pp.117-134)
-
15
-
변영만: 식민지 시기 한국의 대안적 근대성을 모색하다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漢文學報,
v.46,
2022,
pp.313-347)
-
16
-
Korea's First Encounters with Pan-Asianism Ideology in the Early 1880s
-
박노자;
Universiteit i Oslo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5,
2002,
pp.195-232)
-
17
-
(서평) 김경일의 [한국의 근대와 근대성](백산서당, 2003)에 대한 서평
-
박노자;
;
(한국학,
v.26,
2003,
pp.341-347)
-
18
-
The Formation of East Asian Bureaucratic Statehood and its Characteristics: From Han to Song: Bureaucratic Statehood in China, Bureaucratic Meritocracy and the Marxist Understanding of Pre-Capitalist Socio-Economic Formations
-
박노자;
노르웨이 오슬로대학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9,
2022,
pp.65-110)
-
19
-
러시아 한국학의 개척자: 미하일 박 교수
-
박노자;
;
(한국학,
v.25,
2002,
pp.283-305)
-
20
-
복합 위기 속 동아시아, 평화와 공생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?
-
박노자;
오슬로대학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21,
2024,
pp.112-1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