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The Rivalry in the Movement of Monochromatic Painting: Park Seo-bo and Lee U-fan
-
윤난지;
;
(현대미술사연구 =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,
v.32,
2012,
pp.251-284)
-
12
-
A Methodological Study of Korean Contemporary Painting Analysis through Taoist Aesthetics; focus on Park Seo-bo, Suh Se-ok, and Chang Ucchin
-
MA, SEUNGJAE;
;
(동양예술,
v.50,
2021,
pp.407-429)
-
13
-
단색조 회화운동 속의 경쟁구도: 박서보와 이우환
-
윤난지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2,
pp.251-284)
-
14
-
박서보의 ⟨묘법(描法)⟩에 나타난 ‘무위(無爲)’의 미학과 단색화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
-
하수희;
성균관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4,
pp.333-360)
-
15
-
박서보의 1960년대 작업 연구: 프랑스 체류 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
-
전유신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17,
pp.93-118)
-
16
-
한국 현대 추상미술의 통어(通語), 박서보의 ⟨묘법⟩: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디지털까지
-
최정주;
홍익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1,
pp.271-294)
-
17
-
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의 기원과 전통성
-
박계리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15,
2002,
pp.295-322)
-
18
-
도가미학을 통한 한국 현대 회화 분석의 방법론적 연구-박서보, 서세옥, 장욱진을 중심으로
-
마승재;
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·문화연구소;
(동양예술,
v.0,
2021,
pp.407-429)
-
19
-
박서보의〈원형질(原形質)〉연작 연구: ‘절규하는 인간의 영상’ —사르트르(J-P. Sartre)의 사상과 접목 고찰—
-
김현화;
숙명여자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4,
pp.136-167)
-
20.
- 한국 단색조 회화에 나타난 문인화 연구
- 이현미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viii, 129 p.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