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의 선호: Kelly의 모형을 중심으로
-
박선운;
황미영;
청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;
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;
(교육연구,
v.91,
2024,
pp.47-71)
-
12
-
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(ESD) 내용 분석 -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-
-
성경희;
황미영;
박선운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부산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5,
2023,
pp.87-118)
-
13
-
초등 사회과 블렌디드 PBL(Problem-based learning)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협력적 실행 연구
-
박윤경;
박선운;
김지훈;
김지윤;
유소현;
청주교육대학교;
청주교육대학교;
대전 산내초등학교;
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;
대전호수초등학교;
(학교와 수업 연구,
v.8,
2023,
pp.95-127)
-
14
-
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Guidance Program for Students in Law-related Education’s Perspective
-
Park sunghyeok,;
박선운,;
;
(법교육연구= Journal of law-related education,
v.4,
2009,
pp.57-77)
-
15
-
A Study on the Social Studies Classes of Block Scheduling
-
박선운,;
YoungDal Cho,;
;
(市民敎育硏究 =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,
v.43,
2011,
pp.149-185)
-
16
-
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2,
2020,
pp.113-154)
-
17
-
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연구 방향 탐색: “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”의 지향을 위하여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2,
2020,
pp.25-61)
-
18
-
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Civic Engagement of Korean Immigrant Youth in the United States
-
박선운;
서울대학교;
(시민교육연구,
v.51,
2019,
pp.29-65)
-
19
-
Economic Rationality of Korean Adolescents and its Implication for Economic Education
-
박선운;
조영달;
금천고등학교;
서울대학교;
(경제교육연구,
v.18,
2011,
pp.59-90)
-
20
-
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박윤경;
박선운;
청주교육대학교;
서울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24,
2021,
pp.39-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