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AMS 를 이용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전처리 시스템 개발
-
이병철;
임은수;
김명진;
윤민영;
박순발;
이찬희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;
충남대학교 고고학과;
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4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201-206)
-
12
-
여주 흔암리 선사취낙지 출토 석기류II - 남한강유역의 선사문화연구(8) -
-
최몽룡;
박순발;
서울대학교;
충남대학교;
(고문화,
v.0,
1985,
pp.1-27)
-
13
-
부여 은산면 가중리 문화유적 출토 '쥐손이풀'에 대한 고찰
-
김혜령;
박태식;
김백범;
김진태;
임은수;
박순발;
충청문화재연구원;
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남대학교 고고학과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4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81-86)
-
14
-
(재)충청문화재연구원 부설 한국고환경연구소 설립현황과 연구방향 소개
-
김명진;
김혜령;
이병철;
송기웅;
임은수;
홍덕균;
윤민영;
박순발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충청문화재연구원;
강원대학교 물리학과;
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;
충남대학교 고고학과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4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60-65)
-
15
-
한국 고대사에서 종족성의 인식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06,
pp.5-19)
-
16
-
連雲港 封土石室墓의 歷史 性格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13,
pp.81-98)
-
17
-
百濟 ‘籠冠俑’ 硏究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백제연구,
v.0,
2008,
pp.33-62)
-
18
-
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호서고고학,
v.0,
1999,
pp.79-93)
-
19
-
永同 稽山里 建物址의 性格- 中世考古學의 一例 -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호서고고학,
v.0,
2002,
pp.259-274)
-
20
-
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
-
박순발;
충남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07,
pp.155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