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3건 중 193건 출력
, 2/20 페이지
-
11
-
상담초기 문제정의 과정에서 내담자 -상담자 귀인 유사성과 내담자의 지배- 순응 특성이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
-
신종우;
박재황;
;
(상담학연구,
v.6,
2005,
pp.311-323)
-
12
-
자기성장 집단상담 진행단계에 따른 수료자집단과 미수료자집단간의 비교분석
-
박재황;
박성주;
;
(상담학연구,
v.5,
2004,
pp.367-382)
-
13
-
대학생의 내·외적 진로장벽, 진로결정 자기효능감, 진로포부,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
-
고미나;
박재황;
;
(직업교육연구,
v.30,
2011,
pp.259-279)
-
14
-
현실요법을 적용한 교사 정신건강 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
-
박재황;
김순업;
;
(상담학연구,
v.7,
2006,
pp.789-802)
-
15
-
이혼위기 부부를 위한 문제해결 단기상담프로그램의 개발
-
박성주;
박재황;
;
(한국심리학회지 : 상담 및 심리치료,
v.23,
2011,
pp.47-73)
-
16
-
자기성장집단의 발달단계에 따라 집단지도자 리더십 특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
-
박재황;
계명대학교;
(교육심리연구,
v.17,
2003,
pp.1-25)
-
17
-
대학생의 내․외적 진로장벽, 진로결정 자기효능감, 진로포부,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: 학년차를 중심으로
-
고미나;
박재황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進路敎育硏究,
v.25,
2012,
pp.81-100)
-
18
-
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: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, 긍정 정서, 부정 정서의 조절 효과
-
박재황;
황지영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청소년학연구,
v.20,
2013,
pp.25-48)
-
19
-
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
-
황지영;
박재황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직업교육연구,
v.34,
2015,
pp.73-101)
-
20
-
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, 긍정·부정 정서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
-
박재황;
서정덕;
계명대학교;
계명대학교;
(청소년학연구,
v.22,
2015,
pp.161-18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