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41건 중 441건 출력
, 2/45 페이지
-
11
-
대도시와 군중 - 박태순의 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
-
조현일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2,
2007,
pp.343-386)
-
12
-
The Practice Discourse of Park Tae-so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- Later novels of Park Tae-soon and his literary standpoint
-
Kim, Se-jun;
;
(현대문학이론연구= (The)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,
v.69,
2017,
pp.51-77)
-
13
-
배회하는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- 박태순의 〈낮에 나온 반달〉에 나타난 공간 의식
-
장현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381-408)
-
14.
- 1960년대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양상 연구 : 김승옥·박태순·이청준을 중심으로
- 박필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36p., 2004
-
15
-
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‘이동성’의 의미
-
이수형;
서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338-365)
-
16
-
박태순의 현실 감각과 문학적 감수성
-
이주미;
동덕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3,
pp.263-285)
-
17
-
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유년기 형상에 대한 연구 - 「뜬눈」과「가슴 속에 남아 있는 미처 하지 못한 말」을 중심으로
-
조현일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2,
2012,
pp.497-533)
-
18
-
1960년대 박태순 초기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 고찰
-
이수형;
명지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논총,
v.45,
2024,
pp.45-69)
-
19
-
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혁명성과 공간 양상
-
조미숙;
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0,
pp.397-425)
-
20
-
박태순의 실천 담론과 역사의식— 박태순 후기 작품과 그의 문학관을 중심으로 —
-
김세준;
건국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7,
pp.51-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