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이상 시에 나타난 ‘무의미’ 연구- 시간-이미지를 중심으로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8,
pp.187-209)
-
12
-
날이미지시에 나타난 ‘사실’과 ‘시간’ 연구
-
박한라;
한남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9,
pp.155-180)
-
13
-
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8,
pp.127-146)
-
14
-
김종삼 시에 나타난 잠재적 이미지 연구 -‘감각’과 ‘시간’을 중심으로-
-
박한라;
한남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21,
pp.1-21)
-
15
-
황병승 시에 나타난 ‘차이와 생성’ 연구— 애브젝트와 시간을 중심으로 —
-
박한라;
한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9,
pp.129-147)
-
16
-
백석 시에 나타난 ‘나열과 반복’ 구조 연구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8,
pp.185-208)
-
17
-
김경주 시에 나타난 감각 운용 연구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7,
pp.345-364)
-
18
-
정지용 시에 나타난 ‘감각을 통한 사유’ 연구— 『정지용 시집』(詩文學社, 1935)를 중심으로 —
-
박한라;
고려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8,
pp.159-177)
-
19
-
기형도 시에 나타난 언캐니 양상 연구
-
박한라;
한남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1,
pp.307-329)
-
20
-
김춘수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 양상 연구-『남천』을 중심으로
-
박한라;
고려대학교 문예창작학과;
(비평문학,
v.0,
2019,
pp.49-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