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공맹사상을 통한 사회생태주의의 특성 연구- 백무산의 시를 중심으로
-
김동명;
부산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20,
pp.7-40)
-
12
-
문학상에 새바람 일으킨 '이산문학상' - 문학과 지성사 제정 제 1 회 수장자에 백무산.유순하 씨
-
남진우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46,
1989,
pp.11-11)
-
13
-
밥의 기호론적 의미와 변환의 시적 코드 - 백무산의 『만국의 노동자여』를 중심으로
-
정유화;
서울시립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7,
pp.99-128)
-
14
-
Bap's Semiotics Meaning and Poetic Code of Conversion - Mangukui Nodongjayeo in the Middle of the Baek, Mu-San
-
Jeong, Yu-Hwa;
;
(韓國民族文化,
v.65,
2017,
pp.99-128)
-
15
-
노동시에 나타난 근로기준법 인식 고찰
-
맹문재;
안양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3,
2019,
pp.101-124)
-
16
-
1990년대 후일담 시에 나타난 ‘아직-아닌-존재의 존재론(Ontologie des Noch-Seins)’과 희망의 원리 - 박영근과 백무산의 시를 중심으로
-
김난희;
순천향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67,
2021,
pp.35-67)
-
17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阮堂 金正喜의 <歲寒圖>
-
여지선;
건국대학교;
(우리말글,
v.58,
2013,
pp.437-461)
-
18
-
1980년대 노동시에 나타난 ‘가난’과 ‘사랑’의 의미
-
오윤정;
인하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51,
2025,
pp.131-150)
-
19
-
1980년대 노동시의 정치성과 시적 수사
-
오윤정;
인하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1,
pp.399-429)
-
20.
- 1980年代 勞動詩 硏究
- 박철석
-
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2 p., 20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