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철학상담의 어제와 오늘, 그리고 미래
-
이진남;
;
(철학 실천과 상담,
v.1,
2010,
pp.121-148)
-
12
-
톨스토이의 참회록에 나타난 의미의 위기에 대한 철학상담
-
김선희;
;
(철학 실천과 상담,
v.1,
2010,
pp.197-220)
-
13
-
논리를 비트는 심리, 심리를 조절하는 논리
-
박은미;
;
(철학 실천과 상담,
v.1,
2010,
pp.259-282)
-
14
-
임상철학의 정체성 연구 - ‘임상철학’의 규정에 대한 국내외 자료 연구
-
박대원;
경북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4,
pp.395-422)
-
15
-
철학, 상담, 치료, 정관 - 인문치료의 이론적 정초를 위한 철학적 시론
-
김선희;
;
(동서사상,
v.9,
2010,
pp.159-182)
-
16
-
철학상담의 정체성과 심리상담
-
이진남;
;
(동서사상,
v.10,
2011,
pp.131-152)
-
17
-
스토아학파와 철학상담
-
이진남;
강원대;
(哲學硏究 : 대한철학회논문집 =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,
v.150,
2019,
pp.207-235)
-
18
-
묵자(墨子)의 겸애사상(兼愛思想)에 기반한철학상담의 의의
-
하윤서;
강원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9,
2018,
pp.291-314)
-
19
-
철학상담과 여성주의상담
-
노성숙;
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;
(여성학 논집,
v.26,
2009,
pp.3-39)
-
20
-
심리치료와 철학상담의 발전적 관계에 대한 모색
-
김석수;
;
(사회와 철학 = Social philosophy,
v.2009,
2009,
pp.65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