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이정호 편저, 『포스트모던 T.S. 엘리엇』 (서울대학교출판부, 1996)
-
양병현;
;
(T.S.엘리엇연구 = Journal of the T.S. Eliot Society of Korea,
v.4,
1996,
pp.197-204)
-
12
-
朴宗基 著 《高麗時代 部曲制硏究》 (서울 : 서울대학교 출판부, 1990, 310面)
-
安秉佑;
;
(歷史 學報,
v.127,
1990,
pp.221-232)
-
13
-
서평 : 신라상고사의 함의와 지평-『신라상고사연구』(강종훈, 2000, 서울대학교 출판부)-
-
이강래;
;
(역사와 현실,
v.42,
2001,
pp.254-268)
-
14
-
박종진, 《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》 (서울대학교출판부, 2000)
-
李惠玉;
;
(歷史 學報,
v.171,
2001,
pp.351-362)
-
15
-
《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》, 정용욱 저(서울대학교출판부, 서울) 2003
-
김점숙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4,
2004,
pp.295-302)
-
16
-
「아바쿰-러시아문화적 측면에서 본 〈생애전〉」, 이인영 저, 서울 : 서울대학교 출판부, 1991년, 511면
-
권철근;
;
(슬라브 학보,
v.6,
1991,
pp.211-213)
-
17
-
김장권 저, 『국민국가 형성과 지방자치 : 일본 국가주의적 사회적 기반』(서울대학교 출판부, 1994년)
-
길승흠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28,
1995,
pp.865-866)
-
18
-
[서평]고려시대 재정사에 관한 큰 틀의 제시-『고려전기의 재정구조』(안병우, 서울대학교 출판부, 2002)-
-
김재명;
;
(역사와 현실,
v.47,
2003,
pp.245-256)
-
19
-
김장권 저, 『국민국가 형성과 지방자치 : 일본 국가주의의 사회적 기반』(서울대학교 출판부, 1994년)
-
박충석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28,
1995,
pp.867-868)
-
20
-
송찬섭 著, 《朝鮮後期 還穀制改革硏究》(서울대학교 출판부, 서울) 2002, 397쪽
-
문용식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2,
2002,
pp.257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