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불교 죽음의례의 유형과 변화양상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종교문화비평,
v.16,
2009,
pp.54-92)
-
12
-
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硏究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07,
pp.853-879)
-
13
-
윤달 ‘세절밟기’의 민속적 전개와 제의적 특성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10,
2007,
pp.145-173)
-
14
-
朝鮮 後期 佛卓 연구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미술사학연구,
v.0,
2004,
pp.121-170)
-
15
-
윤달의 민속심리와 주술ㆍ종교적 특성-길흉관념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-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비교민속학,
v.0,
2008,
pp.331-362)
-
16
-
‘일생’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
-
구미래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비교민속학,
v.0,
2009,
pp.225-257)
-
17
-
조선후기 명문 괘불궤 연구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불교미술사학,
v.28,
2019,
pp.757-792)
-
18
-
조선후기 영남지역 사찰벽화의 위계와 불전성향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불교미술사학,
v.24,
2017,
pp.283-320)
-
19
-
일본 兵庫縣 十輪寺 소장 〈五佛會圖〉 연구
-
신태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동악미술사학,
v.0,
2021,
pp.5-34)
-
20
-
조선후기 괘불탱에 투영된 ‘水’ 도상의 관념적 인식과 형상
-
허상호;
성보문화재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24,
pp.211-2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