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Policy Effect of Gender Based Budgeting: Quasi-Experimental Evidence from OECD Countries
-
Jung, Han Byeol;
Chung, Il Hwan;
;
(융합사회와 공공정책 = The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and public policy,
v.15,
2021,
pp.125-152)
-
12.
- 제천시 저출산지원정책 연구 : '한방난임치료지원', '3쾌한 주택자금지원사업', '성인지예산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조례'를 중심으로
- 유은희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22p., 2022
-
13
-
성주류화 제도 논의와 발전방향 연구
-
한정원;
;
(여성학연구,
v.19,
2010,
pp.161-192)
-
14
-
Determinants of Gender Responsive Budget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: Focusing on Representative Bureaucracy Theory
-
Jo, Changdeok;
Kim, Yunji;
;
(한국사회와 행정연구 =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,
v.35,
2024,
pp.115-145)
-
15
-
성주류화 정책 리터러시가 사회적기업의 일-가정 양립 제도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성인지예산 및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지를 중심으로
-
오영민;
손현기;
동국대학교;
동국대학교;
(한국사회와 행정연구,
v.33,
2023,
pp.51-78)
-
16
-
성인지예산서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와 과제 -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-
-
홍미영;
류춘호;
고강인;
부산여성가족개발원;
부산광역시의회;
부산여성가족개발원;
(여성학연구,
v.24,
2014,
pp.61-93)
-
17
-
중앙정부 성인지예산 결정에 관한 연구: 성평등 정책 목표별 예산변화 요인을 중심으로
-
정안의;
고려대학교;
(국정관리연구,
v.18,
2023,
pp.167-196)
-
18
-
성인지예산 사업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: 성별영향평가와 여성예산요인을 중심으로
-
박지민;
오영민;
성균관대학교;
동국대학교;
(국정관리연구,
v.16,
2021,
pp.55-81)
-
19
-
Does Gender Budget System Improve Government Fiscal Accountability?Evidence from Municipal Governments
-
Jung, Sun-Moon;
Han, Seung-youb;
;
(會計學硏究= Korean accounting review=회계학연구,
v.46,
2021,
pp.83-136)
-
20
-
도시 및 건축 분야의 성인지통계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
-
장미현;
차은아;
강미선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28,
2012,
pp.83-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