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.
- 한국과 중남미 낭만주의 비교 연구 : 이상화와 에체베리아의 시를 중심으로
- 김수정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6 p., 2015
-
12
-
카스티요 솔로르사노의 두 소설을 통해 고찰한 17세기 스페인의 도시인들
-
송선기;
고용희;
조선대학교;
조선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10,
pp.289-311)
-
13
-
전통과 한국현대문학
-
김상태;
이화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4,
pp.331-341)
-
14
-
오르테가 이 가세트와 바로하 사이의 소설에 대한 논쟁과 그 문학적 의의
-
조민현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14,
pp.239-260)
-
15.
- 鮮于輝 小說 硏究 : 인물 유형을 중심으로
- 한유정
-
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69p., 2005
-
16
-
혼종의 제시와 이행 : 후안 호세 미야스의 『프라하의 두 여인』에서 『세상』으로
-
고슬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12,
pp.239-253)
-
17
-
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『도시와 개들』의 폭력과계급 질서: 유사와 대립의 이원적 구조
-
송병선;
울산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 연구,
v.26,
2015,
pp.179-204)
-
18.
- 『무정의 연대기』에서의 페미니스트 문학비평
- 오수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0 p., 2013
-
19
-
다문화주의와 인디오 소설의 전개과정
-
박종율;
서울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79-199)
-
20
-
‘연애’의 형성과 초기 근대소설
-
김지영;
고려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5,
pp.51-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