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실태 분석
-
송나윤;
홍주연;
노태희;
서울대학교 대학원;
서울대학교 대학원;
서울대학교;
(초등과학교육 =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,
v.39,
2020,
pp.1-14)
-
12.
-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도심형 스마트 실버타운 디자인에 관한 연구
- 송나윤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, 142 p., 2011
-
13.
- 이공계열 교수의 수업 실행에서 나타난 수업 전문성과 CoRe 전략의 영향
- 송나윤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, 196, 2021
-
14
-
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(PCK) 요소 분석 - 3~4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-
-
송나윤;
조윤영;
노태희;
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;
서울대학교 대학원;
서울대학교;
(초등과학교육 =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,
v.42,
2023,
pp.47-63)
-
15
-
과학과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
-
송나윤;
이민정;
노태희;
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초등과학교육 =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,
v.43,
2024,
pp.504-518)
-
16
-
소집단 크기에 따른 중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·물리적 상호작용
-
송나윤;
신기덕;
노태희;
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42,
2022,
pp.557-566)
-
17
-
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생의 지식 형성 담화 유형과 지식 형성 과정 탐색
-
송나윤;
이예진;
신기덕;
노태희;
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43,
2023,
pp.125-137)
-
18
-
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
-
양찬호;
송나윤;
김민환;
노태희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36,
2016,
pp.681-691)
-
19
-
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도구 사용 환경에 따른 담화 비교
-
신석진;
김혜린;
노태희;
송나윤;
판곡중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;
(한국과학교육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,
v.43,
2023,
pp.181-190)
-
20
-
CoRe를 활용한 수업 설계가 이공계열 교수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
-
송나윤;
홍주연;
노태희;
한재영;
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;
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;
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;
충북대학교 화학교육과;
(대한화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,
v.64,
2020,
pp.84-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