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지역사회 민간사례관리자의 실천 성공 경험의 내용과 의미
-
송인주;
박수선;
서울시복지재단;
서원대학교;
(디지털융복합연구 =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,
v.15,
2017,
pp.455-463)
-
12
-
우리나라 공간계획과 환경계획간 연계체제 및 실태분석
-
이상대;
송인주;
;
(國土計劃 : 大韓國土·都市計劃學會誌,
v.37,
2002,
pp.29-44)
-
13
-
독일의 생태적 도시계획 지침
-
송인주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208,
1999,
pp.68-73)
-
14
-
도시농경지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모델 - 서울시를 대상으로 -
-
송인주;
진유리;
서울시정개발연구원;
서울시정개발연구원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6,
2002,
pp.249-260)
-
15
-
환경성 제고를 위한 서울의 도시 관리시스템 분석 및 평가
-
송인주;
신지혜;
;
(國土計劃 : 大韓國土·都市計劃學會誌,
v.41,
2006,
pp.121-136)
-
16
-
먹거리문제의 해법으로서 녹색소비주의: 식품라벨 활용과 먹거리 대안소비의 관계를 중심으로
-
송인주;
원광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;
(농촌사회,
v.26,
2016,
pp.67-115)
-
17
-
인접 토지이용이 경관조각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
-
Kwon Young-Sang;
Song In-Ju;
;
(國土計劃 : 大韓國土·都市計劃學會誌,
v.40,
2005,
pp.235-245)
-
18
-
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 방안
-
송인주;
진유리;
서울시정개발연구원;
서울시정개발연구원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7,
2003,
pp.56-70)
-
19
-
1920년대 봉천 군벌의 자원 개발과 만주 지배 ‒광산과 삼림 자원을 중심으로‒
-
송인주;
서강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23,
pp.83-119)
-
20
-
1885년 曹廷杰의 만주 답사 —청말 漢人 지식인의 만주 인식과 邊政 개혁론—
-
송인주;
서강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20,
pp.71-1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