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2/12 페이지
-
11.
- 韓國古典小說의 神秘性 硏究 : 佛敎系 國文小說을 中心으로
- 김동기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, 132p., 1988
-
12
-
丁若鏞與黃宗羲經世敎育觀的比較硏究
-
왕호;
마려혜;
한서대학교;
한서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23,
pp.237-267)
-
13
-
『源氏物語』六条院の中の夕霧の恋 -疑似の兄妹婚-
-
김효숙;
세종대학교;
(일어일문학연구,
v.70,
2009,
pp.43-59)
-
14
-
역사와 문학에 나타난 이무-<신당서> 속의 이무와 <홍무왕연의>의 이무 - 신당서(新唐書) 속의 李茂와 흥무왕연의의 李茂-
-
김동협;
동국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12,
pp.27-48)
-
15
-
표상(表象)으로서의 공간(下) -하야시 후미코(林芙美子)『뜬구름(浮雲)』론-
-
최은경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9,
pp.499-514)
-
16
-
椎名麟三「公園の詩人」論‒ドストエフスキー「大審問官」物語を手がかりに‒
-
김경호;
한남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1,
pp.179-194)
-
17
-
『천예록』에 나타나는 신격의 변화와 그 의미
-
이승은;
한림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8,
pp.159-181)
-
18
-
중국 후진타오정부의 신국가전략
-
이정태;
중국사회과학원;
(대한정치학회보,
v.13,
2005,
pp.223-244)
-
19
-
과거 체현 이론과 야나기타 구니오의 ‘신앙’론
-
전성곤;
고려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563-586)
-
20
-
오자키 코요(尾崎紅葉)의『니닌뇨보(二人女房)』론 -이상적인 결혼에 관한 제언-
-
한광수;
청주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3,
pp.379-3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