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.
- 역주(譯註)《기암집 애제류(畸庵集 哀祭類)》
- 박현금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2, 2014
-
12
-
동회별서(東淮別墅)의 조영배경 및 공간구조 분석
-
이창훈;
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;
(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,
v.2017,
2017,
pp.151-152)
-
13.
- 조선 중기 문인들의 회화관 연구
- 임희숙
-
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, 195 p., 2017
-
14.
- 陶谷 李宜顯 散文批評의 淵源에 대한 硏究
- 민복기
-
釜山大學校, 국내박사,
ii, 183 p., 2007
-
15
-
조선 후기 斗陵 일대에 대한 공간 인식의 변화와 그 의미
-
김지영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53,
2017,
pp.229-253)
-
16
-
徐命膺의 ⟨⟨皇極一元圖⟩⟩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-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-
-
조희영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규장각,
v.0,
2020,
pp.73-106)
-
17
-
17세기의 완주 송광사 불사와 벽암 각성(碧巖覺性)
-
유근자;
동국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9,
pp.121-169)
-
18
-
徐命膺의 <<皇極一元圖>>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-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-
-
조희영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규장각,
v.0,
2020,
pp.73-106)
-
19
-
여행을 통한 山水와 生活 空間의 認識
-
김남기;
안동대학교;
(漢文學報,
v.17,
2007,
pp.27-52)
-
20
-
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詩畫를 통한 교유에 관한 試論: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《李澄 筆 山水花鳥圖帖》(보물 1985호)을 중심으로
-
오세현;
경상국립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21,
pp.439-4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