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시조를 통해 본 陽明學의 傳來와 擴散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7,
pp.59-97)
-
12
-
Theories of Desire and Self-cultivationTraining by Noh Su-Shin and Heo Gyun - With regard to the acceptance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-
-
신향림,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51,
2018,
pp.119-158)
-
13
-
노수신의 초기 사상과 경세론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0,
2009,
pp.73-106)
-
14
-
盧守愼의 人心道心說에 내포된 陸王學의 심성수양론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4,
pp.277-315)
-
15
-
16C 전반 陽明學의 전래와 수용에 관한 고찰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퇴계학보,
v.0,
2005,
pp.181-228)
-
16
-
蘇齋 盧守愼의 공부론에 나타난 陽明學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5,
pp.379-423)
-
17
-
燕巖 일파 문학론에서 色, 自然, 際
-
신향림;
한국민족문화연구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4,
pp.29-62)
-
18
-
燕巖 朴趾源의 만년 思想에 대한 再論 -맹인 설화와 「答任亨五論原道書」를 중심으로-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0,
pp.353-386)
-
19
-
農巖 金昌協과 燕巖 朴趾源의 거리 -문학론에서 眞 개념의 운용추이를 중심으로-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2,
pp.311-348)
-
20
-
穌齋 盧守愼의 만년기 시에 대한 고찰
-
신향림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2,
pp.275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