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인도의 神觀과 불교 神將 이미지의 형상화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미술자료,
v.0,
2019,
pp.166-192)
-
12
-
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
-
심영신;
숭실대학교 사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6,
2023,
pp.64-78)
-
13
-
경기명가 기증유물로 본 조선 사대부의 삶- 관직 생활을 중심으로 -
-
심영신;
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2,
pp.81-124)
-
14
-
The Cult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Ancient East Asia: Beyond the Hoguk Bulgyo (“Nation-Protecting Buddhism”) Perspective
-
심영신;
경기도박물관;
(신라사학보,
v.0,
2013,
pp.549-608)
-
15
-
조선후기 사천왕도(四天王圖)의 제작과 봉안 양상
-
심영신;
홍익대학교;
(동아시아불교문화,
v.0,
2016,
pp.49-82)
-
16
-
7세기 중엽 일본 사천왕도상과 동아시아
-
심영신;
홍익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16,
pp.39-72)
-
17
-
사천왕 갑옷의 의미 재고
-
심영신;
경기도박물관;
(미술사학보,
v.0,
2014,
pp.121-142)
-
18
-
선택과 적응 - 6세기 후반 상장 미술을 통해 본 중국 소그드인의 정체성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1,
pp.440-484)
-
19
-
고려 전기 불교미술의 지역성 고찰 -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부조 신장상을 중심으로-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22,
pp.121-152)
-
20
-
활과 검의 불교적 상징과 미술 표현
-
심영신;
숭실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8,
pp.109-1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