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『양산백전』의 서사적 특성 연구
-
심치열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7,
2004,
pp.323-350)
-
12
-
『삼국유사』소재 설화의 서사적 계승 연구 - 경문왕 설화를 중심으로
-
심치열;
;
(국어국문학,
v.139,
2005,
pp.301-335)
-
13
-
고전소설 <채봉감별곡>의 스토리텔링 방식 - <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>를 중심으로
-
Shim, Chi-yeol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41,
2014,
pp.73-104)
-
14
-
고전소설 <채봉감별곡>의 스토리텔링 방식 -<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>를 중심으로-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73-104)
-
15
-
구활자본 애정소설 <藥山東臺>의 서사적 측면에서 본 변모 양상 -<춘향전>의 전승적 맥락을 중심으로-
-
심치열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7-66)
-
16
-
<숙영낭자전>에 나타난 죽음의 현장감과 재생의 상실감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5,
pp.515-539)
-
17
-
⟨윤지경전⟩에 나타난 폭력의 대응방식 연구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3,
pp.89-112)
-
18
-
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「이생규장전」의 특징과 그 의미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28,
2010,
pp.177-205)
-
19
-
고전소설 ⟨채봉감별곡⟩의 스토리텔링 방식 -⟨어머님이 들려주시던 노래⟩를 중심으로-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73-104)
-
20
-
「부용의 상사곡」에 나타난 평양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의미
-
심치열;
성신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30,
2012,
pp.105-1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