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안익태 애국가 무엇이 문제인가-법정(法定) 국가(國歌) 제정을 위한 시론(試論)
-
김정희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1,
pp.321-345)
-
12
-
안익태 연구 III — 1938~1940, 두 번의 첼로 연주회와 한 번의 지휘 무대
-
김보국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인문논총,
v.78,
2021,
pp.263-292)
-
13
-
안익태와 미국 신시내티
-
허영한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서양음악학,
v.16,
2013,
pp.91-118)
-
14
-
안익태와 중남미
-
허영한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16,
pp.83-111)
-
15
-
안익태 아리랑 선율 연구
-
전정임;
충남대학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4,
pp.43-72)
-
16
-
생각한다: 다시 안익태의 애국가 논란. “안익태 친나치 추적. 그후 12년”
-
이경분;
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;
(음악과 현실,
v.0,
2019,
pp.5-9)
-
17
-
Study on Eak-tai Ahn (Ⅱ) - Related to His Conducting Performance at the Studio of Hungarian Radio on June 27, 1938
-
Kim, Bo-Gook;
;
(인문학연구 :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= Study of humanities,
v.33,
2020,
pp.257-282)
-
18
-
The worship project of Yi Sun-sin in 1931 by Kwangsoo Lee and The approval of singing the Korean National Anthem(Yun Chi-Ho’s writing song and Eak Tai Ahn’s composition) in unison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(Kim Ku) in 1945
-
Kim, Won-mo;
;
(春園硏究學報 = Journal of Kwangsoo Lee research,
v.12,
2018,
pp.261-345)
-
19
-
안익태 연구Ⅱ - 1938년, 부다페스트에서 지휘와 언론 인터뷰를 중심으로
-
김보국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人文學硏究,
v.33,
2020,
pp.257-282)
-
20
-
안익태의 음악세계에 대한 연구
-
진환주;
숭실대학교;
(국악교육,
v.31,
2011,
pp.159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