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초기 워홀 작품의 문화적 의미 연구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8,
2007,
pp.285-296)
-
12
-
포스트휴먼 주체와 기술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: 낯선 아름다움의 초대
-
안인기;
춘천교육대학교 부교수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63,
2020,
pp.179-203)
-
13
-
미술의 사회 참여 :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81-292)
-
14
-
조국근대화'와 풍경의 재구성 - 새마을운동 사진에 대한 비교 연구
-
안인기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9,
2008,
pp.543-554)
-
15
-
Reframing Visual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Youth Culture on the Internet
-
안인기,;
;
(미술과 교육= Journal of research in art & education,
v.11,
2010,
pp.39-72)
-
16
-
The Role of the Public Art Seen through the Village Murals at Sangjang-dong, Taebaek
-
안인기,;
;
(미술과 교육= Journal of research in art & education,
v.14,
2013,
pp.81-95)
-
17
-
공예에 대한 현대적 입장들: 개념과 가치에 대한 재고
-
안인기;
한양대학교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93-304)
-
18
-
미술의 사회 참여 :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
-
안인기;
한양대학교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81-292)
-
19
-
들뢰즈의 영화이론에 기반한디지털 영상 교육의 가능성 연구
-
안인기;
춘천교육대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43,
2015,
pp.43-62)
-
20
-
1960년대 워홀의 대중문화 전유와 반미학 전략
-
안인기;
한양대학교;
(기초조형학연구,
v.12,
2011,
pp.253-2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