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58건 중 358건 출력
, 2/36 페이지
-
11.
- 노동현장의 체험을 통하여 구축된 조형작품 연구
- 이찬주
-
가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12.
-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수용에 관한 대화성 연구 : 드라마 <응답하라> 시리즈를 중심으로
- 이서라
-
건국대학교, 국내박사,
vii, 162 p., 2017
-
13
-
팬데믹 시대의《남자는 괴로워(男はつらいよ)》재해석
-
김희경;
전남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23,
pp.155-166)
-
14.
- 삶의 흔적을 반영한 일상성의 회화적 표현 연구 : 사진 속 주변 인물을 표현한 본인 작품 중심으로
- 홍정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4 p., 2024
-
15.
- 예술적 과제로서의 ‘그림자(Shadow)’ 표현 연구 : 페르조나 마주하기를 중심으로
- 오경미
-
상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55, 2019
-
16.
- 충분한 만족감을 누리는 ‘본질명상(Quidditation)법’ 사례 연구 : - 나의 작업을 중심으로 -
- 손수정
-
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ii,41, 2024
-
17
-
단단한 생명 혹은 흐르는 물질: 마크 퀸의 〈자아〉 시리즈에서 혐오스러운 물질에 대한 미학적 분석
-
이재준;
숙명여자대학교;
(현대미술사연구,
v.0,
2021,
pp.37-61)
-
18.
- 임주섭의 현악 3중주를 위한 ‘만남 I’ 분석
- 석윤화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88 p., 2024
-
19
-
⟨어스시의 마법사⟩와 ⟨테하누⟩에 나타난 게드의 ‘자기실현’ 과정
-
하영미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72,
2024,
pp.219-245)
-
20
-
일본 비디오 게임에서 가상과 실제를 경유하여 구현되는 (재일)한국인의 특성: ≪용과 같이(龍が如く)≫ 시리즈 내 한국인 폭력조직을 중심으로
-
이은우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반영과 재현,
v.4,
2024,
pp.37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