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백낙청 비평에 나타난 ‘시적(詩的) 창조’의 의미- M. 하이데거와 T.S. 엘리어트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-
-
강용훈;
한림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355-381)
-
12
-
Abject, Subaltern and Representation of a Military Prostitute: Reading Kim Yong Ik’s “Translation President” and “American Love Song”
-
Son, Byungyong;
;
(동서비교문학저널 = The Journal of East-West comparative literature,
v.70,
2024,
pp.255-283)
-
13.
- T. S. Eliot詩의 狀況 悲劇性 : 'The Waste Land'를 中心으로
- 탁인석
-
朝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37p., 1981
-
14.
- T. S. Eliot의 이상주의와 상징의 특질 : The waste land와 Ash Wednesday를 중심으로
- 박종언
-
東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1p., 1989
-
15
-
‘전통’ 개념어의 기원과 전통 인식
-
임곤택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1,
2011,
pp.323-345)
-
16.
- 詩와 批評에서 본 엘리어트 神秘主義의 主潮 : 초월적 合一
- 전종봉
-
成均館大學校, 국내박사,
287p., 1996
-
17.
- 聖 어거스틴의 神學에 비춰 본 T. S. Eliot 詩
- 김영옥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[2], 181 p., 1997
-
18.
- T.S. Eliot의 詩에 나타난 현대인의 의식과 구원에 대한 연구
- 노홍섭
-
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69 p., 1991
-
19.
- T.S.Eliot 시의 영적 여정 연구
- 오영미
-
建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03p., 1994
-
20.
- (A) study on the criticism of Choi Jae-Seo
- 홍성식
-
明知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95p., 199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