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2/16 페이지
-
11
-
[총론] 한ㆍ중 역사인식의 접점 -고구려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기획하며-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55,
2005,
pp.17-24)
-
12
-
[고대] 2009~2010년 한국고대사 연구동향 - 잇따른 신자료 출현과 새로운 한국고대사상의 모색
-
여호규;
;
(歷史 學報,
v.181,
2011,
pp.5-44)
-
13
-
高句麗 初期의 梁貊과 小水貊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25,
2002,
pp.91-130)
-
14
-
총론 : 6~8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연구의 진전을 기대하며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2006,
2006,
pp.19-30)
-
15
-
특집:한국고대의 국가 형성 압록강 중류유역에서 고구려의 국가 형성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21,
1996,
pp.45-74)
-
16
-
고구려 초기사의 집대성 (여호규, 『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』, 신서원, 2014)
-
조영광;
전남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4,
pp.301-312)
-
17
-
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
-
여호규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38,
2005,
pp.37-84)
-
18
-
신발견 〈集安高句麗碑〉의 구성과 내용 고찰
-
Yeo, Ho-kyu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70,
2013,
pp.51-100)
-
19
-
연구동향 한국 고대의 국가형성
-
여호규;
;
(역사와 현실,
v.19,
1996,
pp.219-242)
-
20
-
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
-
Yeo, Ho-Kyu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71,
2013,
pp.55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