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146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일제 시기 주류 역사학과 비주류 역사학의 주고받음
-
김종준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22,
pp.337-370)
-
12
-
하이데거와 역사학의 문제
-
하피터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40,
2009,
pp.301-325)
-
13
-
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역사학 - 역사학의 실용성 문제
-
李相鉉;
;
(歷史 敎育,
v.70,
1999,
pp.69-93)
-
14
-
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길 찾기 - 민족주의 역사학의 전망
-
이윤갑;
;
(韓國學論集,
v.35,
2007,
pp.27-72)
-
15
-
글로컬라이제이션의 역사학
-
최갑수;
;
(人文硏究,
v.57,
2009,
pp.1-32)
-
16
-
모던 역사학의 계보
-
김현식;
;
(美國史硏究 = Studies in American history,
v.16,
2002,
pp.1-31)
-
17
-
북한 역사학 형성에 소련 역사학이 미친 영향
-
홍종욱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77,
2020,
pp.13-58)
-
18
-
‘권위’의 역사학과 역사학의 권위 - 김수영, 「포스트모더니즘과 중국역사학」에 대한 비평
-
黃東淵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21,
2004,
pp.155-169)
-
19
-
인문학-역사학과 한국 근현대사에서의 正義
-
정태헌;
;
(한국사회 = Journal of Social Research,
v.7,
2006,
pp.67-90)
-
20
-
독일 개념사와 새로운 역사학
-
羅仁昊;
;
(歷史 學報,
v.172,
2002,
pp.293-3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