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읽기 기초학력 평가를 위한 선결 과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5,
pp.213-242)
-
12
-
지리적 경계 넘기와 심리적 좌절의 이야기, <만언사>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3,
2021,
pp.33-63)
-
13
-
고전시가 향유 및 학습 방법으로서의 번역–시조를 예로-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0,
pp.5-33)
-
14
-
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9,
pp.193-222)
-
15
-
문학하는 시대, 다시 문학 속으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3,
pp.261-291)
-
16
-
문학교육과 학습자의 발달 단계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3,
pp.185-208)
-
17
-
국어 활동 영역과 문학 영역의 관계 설정에 대한 연구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5,
pp.259-287)
-
18
-
기행가사의 ‘공간’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6,
pp.89-114)
-
19
-
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 평가 방안 탐색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09,
pp.345-370)
-
20
-
시조 번역,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–R.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
-
염은열;
청주교육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58,
2023,
pp.395-4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