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할레드 호세이니의 소설과 페리텍스트—『그리고 산이 울렸다』의 제목이 갖는 함축성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39,
2013,
pp.119-140)
-
12
-
팔레스타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고난의 역사 —『예닌의 아침』과 「하이파로 돌아가다」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40,
2014,
pp.51-74)
-
13
-
오에 겐자부로의 윌리엄 블레이크 - 「순수의 노래, 경험의 노래」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적 서사전략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20,
pp.207-244)
-
14
-
슬픔과 애도의 시학 –나타샤 트레서웨이의 시에 나타난 어머니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연구,
v.37,
2011,
pp.69-89)
-
15
-
J.M.쿳시의 소설과 미국의 식민주의/제국주의--『어둠의 땅』의 「베트남 프로젝트」를 중심으로
-
왕은철;
;
(영어영문학,
v.54,
2008,
pp.107-127)
-
16
-
외국소설의 번역과 번역비평의 문제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안과밖:영미문학연구,
v.0,
2007,
pp.120-134)
-
17
-
주요소설가로서의 사무엘 베켓--『와트』에 관한 하나의 시론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1,
2005,
pp.355-378)
-
18
-
드포우의 프라이데이와 쿳시의 프라이데이 - 『로빈슨 크로소』에 대한 대응담론으로서의『포우』
-
왕은철;
;
(영어영문학,
v.48,
2002,
pp.53-78)
-
19
-
「최고의 사파리」를 중심으로 본 타자 재현의 문제 - 나딘 고디머에 대한 애도를 겸하여
-
왕은철;
전북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1,
2014,
pp.81-107)
-
20
-
근대 중국의 개항 도시와 동아시아
-
吳松弟;
왕은철;
復旦大學;
南開大學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119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