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42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한국 고전춤의 개념에 관한 연구
-
이찬주;
춤이론연구소장;
(예술과 과학기술,
v.9,
2013,
pp.36-63)
-
12
-
⟨홍길동전⟩의 현재적 계승과 개작 양상 ― 정비석 『소설 홍길동』을 대상으로 ―
-
유광수;
연세대학교;
(어문론집,
v.93,
2023,
pp.219-249)
-
13
-
뮤지컬 ⟨여기, 피화당⟩의 고전소설 ⟨박씨전⟩ 변용 양상과 고전문학콘텐츠화 방안
-
김지혜;
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24,
pp.9-40)
-
14
-
세기말을 뛰어 넘는 환상문학의 신선함
-
김성곤;
서울대 영문학과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39,
1998,
pp.4-4)
-
15
-
고전 번역 관련 대중서 발간의 현황과 과제
-
박동욱;
한양대학교;
(고전번역연구,
v.0,
2024,
pp.173-198)
-
16
-
일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지평과 역사
-
야마다 교꼬;
긴키대학교近畿大學校;
(한국학연구,
v.0,
2024,
pp.313-345)
-
17
-
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전문학 교육방안 연구 - 가전(假傳)갈래의 이해와 창작을 중심으로 -
-
정보배;
부산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6,
2024,
pp.97-112)
-
18
-
고전의 번역과 대중화, 그 현실과 전망
-
김풍기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56,
2012,
pp.43-62)
-
19
-
조선 전기 여성 주체의 경험과 감정에 대한 사례 연구 - 『조선왕조실록』을 활용한 고전 여성 지식 체계의 생성 기반에 대한 시론으로서 -
-
김남이;
부산대학교 한문학과;
(여성학연구,
v.28,
2018,
pp.47-85)
-
20
-
조지훈과 아동문학
-
김종훈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0,
2023,
pp.407-4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