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‘전라구례오미동가도(全羅求禮五美洞家圖)’를 통해 본 운조루(雲鳥樓)의 공간배치계획과경관 고찰
-
신상섭;
우석대학교;
(문화재,
v.46,
2013,
pp.48-63)
-
12
-
녹색건축인증제(G-SEED)에 따른 한옥의 친환경 요소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-구례 운조루와 진원당을 중심으로-
-
김학래;
최형석;
한남대학교;
한남대학교;
(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,
v.17,
2015,
pp.9-18)
-
13
-
녹색건축인증제(G-SEED)에 따른 한옥의 친환경 요소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-구례 운조루와 진원당을 중심으로-
-
최형석;
김학래;
(주)건축사사무소 도시건축;
한남대 건축학부 건축학전공;
(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,
v.17,
2015,
pp.9-18)
-
14
-
전라구례오미동가도를 통해 본 운조루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(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Unjoru showed in The Family hereditary Drawing, Oh-Mi-Dong-Ga-Do )
-
최수영;
김광현;
홍대형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17,
2001,
pp.133-140)
-
15.
- 풍수지리이론에 의한 전원주택지 선정
- 한복우
-
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135장, 2007
-
16
-
구체 운조루의 주택사 연구 - 창건과 규모변화에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- ( A Study on the History of Unjoru House in Gurye - Mainly the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establishment and changes of the space - )
-
박익수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14,
1998,
pp.195-206)
-
17
-
19~20세기 구례 유씨가柳氏家 일기에 나타난 식물생활사 연구
-
김유진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학연구,
v.0,
2022,
pp.293-327)
-
18.
- 전남지방 전통주거건축의 외부공간 고찰
- 양병범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6, 2014
-
19
-
판본의 異文을 통해 본 〈佛說大報父母恩重經〉의 문헌학적 특징–龍珠寺 판본을 중심으로–
-
김기엽;
고려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58,
2021,
pp.261-302)
-
20.
- 한국의 가문기록물 현황 및 관리에 관한 연구
- 김희진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6 p.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