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2/12 페이지
-
11
-
기축옥사 전후 선조의 유성룡(柳成龍) 중용(重用)과 그 의의
-
김한신;
충북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32,
2023,
pp.213-243)
-
12
-
서애 유성룡의 정치활동과 임란 극복
-
정만조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30,
2008,
pp.561-597)
-
13
-
The Defense System and Armament for Gyeonggi(경기) of Yu Seong-ry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
-
Kim, Han-shin;
;
(朝鮮時代史學報,
v.82,
2017,
pp.105-146)
-
14
-
책의 산실을 찾아서 - 퇴계 이 황의 도산서원과 서예 유성룡의 병산서원
-
박옥순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11,
2001,
pp.35-38)
-
15
-
정탁과 유성룡의 교유와 전란기 대책 강구
-
김한신;
아주대학교;
(역사와경계,
v.0,
2022,
pp.173-203)
-
16
-
그들은 어떤 제자였는가: 월천 조목, 서애 유성룡, 학봉 김성일
-
박균섭;
;
(인격교육,
v.4,
2010,
pp.5-22)
-
17
-
韓國과 中國의 소슬臺工 변화 과정에 관한 硏究
-
유성룡;
주남철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: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: Planning & design / 計劃系,
v.19,
2003,
pp.171-179)
-
18
-
西厓 柳成龍의 陽明學觀에 對한 再檢討
-
安泳翔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8,
2009,
pp.67-99)
-
19
-
<신자료> 『경자년(庚子年) 대통력(大統曆)』에 관한 고증 연구 - 비망 기록을 중심으로 -
-
노승석;
동국대학교 여해(汝諧)연구소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6,
2023,
pp.12-26)
-
20
-
서애 유성룡의 양명학에 대한 관심과 퇴계심학의 전개
-
홍원식;
;
(양명학,
v.0,
2012,
pp.143-1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