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4건 중 114건 출력
, 2/12 페이지
-
11
-
표상적 언어관과 비표상적 언어관의 충돌 — 유종호와 장용학의 논쟁과 관련하여 —
-
류희식;
영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3,
pp.293-318)
-
12
-
50년대 유종호론 -페허 위에 비평의 새 집 짓기-
-
윤정화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5,
2011,
pp.285-308)
-
13
-
유종호 문학과 로컬리티-언어와 양식의 문제를 중심으로
-
장성규;
건국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3,
pp.317-347)
-
14
-
50년대 유종호론 -페허 위에 비평의 새 집 짓기-
-
윤정화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5,
2011,
pp.285-308)
-
15
-
유종호의 시 비평에 나타난 토착어지향성과 근현대시를 보는 시각
-
송희복;
진주교육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3,
pp.231-260)
-
16
-
통합보안관리 및 사이버 역추적 기술 표준화 현황
-
유종호;
김종현;
나중찬;
;
(TTA 저널 = TTA journal,
v.118,
2008,
pp.66-81)
-
17
-
주체적 독자를 위한 시 교육 - 유종호의 『시란 무엇인가』를 중심으로
-
오문석;
충북대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05,
pp.267-287)
-
18
-
모국어의 심급들, 토대로서의 번역 - 유종호의 ‘토착어’와 백낙청의 ‘토속어’
-
유승환;
서울대학교;
(상허학보,
v.47,
2016,
pp.327-364)
-
19
-
언어 이데올로기와 한자 사용의 상관성 연구 - 장용학과 유종호의 論談을 중심으로 -
-
김대희;
원광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6,
pp.345-364)
-
20
-
유종호의 문학비평에 투영된 언어관 내지 어문(語文) 의식 특히 토착어지향성을 중심으로
-
송희복;
진주교육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3,
pp.213-2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