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5건 중 145건 출력
, 2/15 페이지
-
11
-
윤대성 희곡과 허무의식
-
홍창수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9,
pp.458-493)
-
12
-
윤대성 희곡의 전통극 양식 수용과 현실의 형상화
-
김현철;
東北大學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08,
pp.207-256)
-
13.
- 윤대성 희곡의 현실 인식과 세계 재현
- 박숙자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48, 2023
-
14
-
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서사극적 특성 - <노비문서>와 <신화 1900>을 중심으로 -
-
정낙현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2,
1992,
pp.249-274)
-
15
-
‘광인’을 만들고 고치기: 윤대성 <신화 1900>에 나타난 정신병리적 상상력
-
최우정;
연세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4,
pp.59-89)
-
16
-
윤대성 희곡의 전통 수용 양상
-
김미도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한국연극학,
v.0,
2006,
pp.5-37)
-
17
-
윤대성 희곡 연구
-
박혜령;
부산외국어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1997,
pp.293-316)
-
18
-
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수와의 관련성
-
윤대성;
황인철;
;
(最新醫學 = The New medical journal,
v.51,
2008,
pp.11-20)
-
19
-
윤대성 희곡과 허무의식
-
홍창수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09,
pp.458-493)
-
20
-
윤대성 후기 희곡에 나타난 젠더 문제
-
조보라미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6,
pp.479-5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