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동아시아 호랑이[虎] 소재 우언의 비교 연구 -베트남 작품을 중심으로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0,
pp.7-40)
-
12
-
고려 후기 불교 우언과 전기우언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7,
pp.67-97)
-
13
-
전란의 상처 ‘잡혀간 여자’(被擄女)의 기억 - 연행길의 진자점 계문란 사적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추모 의식 -
-
윤주필;
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6,
pp.257-298)
-
14
-
17세기 담호(談虎) 담론의 전통과 <호정문> <산군전>에 관한 연구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3,
pp.259-308)
-
15
-
동아시아 문명권의 공자 형상과 인식
-
윤주필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209-245)
-
16
-
우언과 성리학 -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0,
pp.129-168)
-
17
-
우산본 <복선화음록>의 특성 연구
-
윤주필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9,
pp.281-314)
-
18
-
동아시아 문명권의 공자 형상과 인식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209-245)
-
19
-
우언 글쓰기의 언어관과 명실론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02,
pp.14-432)
-
20
-
동아시아 ⟨孔子·童子問答⟩ 전승의 연원 고찰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5,
pp.473-5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