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8건 중 208건 출력
, 2/21 페이지
-
11
-
언어의미(言語意味)와 통사지식(統辭知識)이 아동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역할 : 국어(國語) 분류사(分類詞) 습득(習得) 연구
-
이귀옥;
경성대학교 가정관리학과;
(兒童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
v.18,
1997,
pp.73-85)
-
12
-
경험표집법(ESM)을 통한 동시 매체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
-
이귀옥;
최명일;
;
(한국언론학보 =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& communication studies,
v.53,
2009,
pp.138-161, 424)
-
13
-
언어학 이론과 한국어 의미 통사 구조의 습득 - 한국아동의 대용사 습득과 보편 문법에 관한 연구 -
-
이귀옥;
경성대학교 가정관리학과;
(한국 농촌생활과학회지,
v.3,
1992,
pp.113-113)
-
14
-
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른 아동의 성지식 차이에 관한 연구
-
이귀옥;
;
(한국영유아보육학 =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,
v.19,
1999,
pp.19-39)
-
15
-
이중 언어 경험과 선택적주의능력의 관계
-
이혜련;
이귀옥;
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;
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과;
(兒童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
v.27,
2006,
pp.55-64)
-
16
-
한국어-중국어 이중 언어 아동의 한국어 발달 : 복문발달을 중심으로
-
이귀옥;
이혜련;
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과;
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과;
(兒童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
v.29,
2008,
pp.1-12)
-
17
-
조기언어발달 아동의 초기 언어능력의 안정성
-
이귀옥;
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과;
(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,
v.19,
2008,
pp.673-684)
-
18
-
스키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
-
김형섭;
장경수;
이귀옥;
;
(대한경영학회지= Daehan Journal of business,
v.16,
2003,
pp.1735-1753)
-
19
-
‘강한 남자’에서 ‘아름다운 남자’로 - 1970∼1990년대 남성 잡지광고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의 변화와 표현방식
-
이귀옥;
;
(미디어, 젠더&문화= Media, gender&culture,
v.22,
2012,
pp.151-185, 301)
-
20
-
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 : 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
-
이혜련;
이귀옥;
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;
경성대학교 생활경영학전공;
(兒童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
v.26,
2005,
pp.205-2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