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사실의 간극을 채우는 페미니즘적 상상: 클라라 슈만 관련 전기영화 비평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20,
pp.113-138)
-
12
-
An Attempt at Stylistic Definition of Schumann’s Character Pieces
-
이미배,;
;
(音樂學,
v.20,
2012,
pp.7-38)
-
13
-
An Illumination on Orchestral Music by Il-Nam Chang: Focusing on His Symphonic Poem Han River
-
이미배,;
;
(음악과 문화= Music and culture,
v.37,
2017,
pp.5-44)
-
14
-
‘authenticity’ 개념의 음악학적 적용: 한국 서양음악계에서 나타나는 징후들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26,
2016,
pp.90-114)
-
15
-
슈만의 바흐 탐구
-
이미배;
City University of New York;
(음악이론연구,
v.11,
2006,
pp.119-132)
-
16
-
“푸가와 캐논적 정신”: 슈만 음악에서 반복의 의미에 대한 고찰
-
이미배;
이화여자대학교;
(음악과 문화,
v.0,
2014,
pp.171-195)
-
17
-
음악사회학
-
이미배;
;
(낭만음악,
v.15,
2003,
pp.7-28)
-
18
-
슈만 그리고 상호매체성의 이슈들 (1): 상호매체성 논의의 슈만 연구 적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37,
2021,
pp.65-100)
-
19
-
K-클래식의 미디어적 전환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1,
pp.29-51)
-
20
-
K-드라마 속 클래식 음악의 문화적 함의 - 드라마 ⟨빈센조⟩를 중심으로
-
이미배;
전북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149-1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