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중국 문화권 내 주변 諸國의 세계관 -한반도의 제 왕조를 중심으로-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207-223)
-
12
-
중국 문화권 내 주변 諸國의 세계관 -한반도의 제 왕조를 중심으로-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207-223)
-
13
-
한국고대사연구와 식민지주의-그 극복을 위한 과제-
-
이성시;
일본 와세다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1,
pp.193-219)
-
14
-
崔致遠과 渡唐留學生 - 동아시아文化史上의 意義를 둘러싼 재검토 -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6,
pp.79-96)
-
15
-
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와 총독부박물관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미술자료,
v.0,
2015,
pp.23-57)
-
16
-
동아시아에서 고구려의 문명사적 위상
-
이성시;
일본 와세다대학교;
(사림,
v.0,
2009,
pp.353-367)
-
17
-
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-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 -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2,
pp.57-80)
-
18
-
동아시아에서의 낙랑-과제와 방법에 대한 시론-
-
이성시;
일본 와세다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34,
2004,
pp.5-18)
-
19
-
동아시아의 문자 교류와 논어 - 한반도 논어 목간을 중심으로 -
-
이성시;
일본 와세다대학교;
(木簡과 文字,
v.0,
2021,
pp.15-32)
-
20
-
한국목간연구의 지평 –聖語制(hieroglossia)로 본 한국 목간
-
이성시;
와세다대학교;
(木簡과 文字,
v.0,
2023,
pp.11-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