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164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대행선의 주인공 화두명상
-
김형록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(한마음연구,
v.5,
2020,
pp.125-175)
-
12
-
한중일 전통 연안상선의 선형비교연구
-
최운봉;
김성준;
중국원화학원;
해양대학교;
(해운물류연구,
v.49,
2006,
pp.145-161)
-
13.
-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선어말어미의 교육 방안 : 과거 시제 ‘-었었-’을 중심으로
- 장일유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60, 2015
-
14.
- 초기 불교와 조사선의 문답법 연구
- 석진경
-
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4p., 2008
-
15
-
말뭉치에 나타난 ‘-겠-’의 분포 양상 연구
-
최지화;
중국 통화사범대학교;
(한국과 국제사회,
v.7,
2023,
pp.107-147)
-
16
-
조오현 선시조(禪時調)의 미적 특성 고찰
-
홍용희;
경희사이버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22,
pp.175-199)
-
17
-
율곡과 퇴계의 미발에 대한 연구
-
박근;
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4,
pp.7-42)
-
18.
- FTIR 분광기 및 MEMS 기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살아있는 유방세포주의 광학적 특성 연구
- 황은진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x, 62장, 2009
-
19
-
한국어와 몽골어의 평서형어미 대조 연구
-
바야르마;
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생;
(몽골학,
v.0,
2023,
pp.39-59)
-
20
-
퇴계 이황을 통해 본 사단의 純善無惡 고찰
-
성지은;
부산대학교;
(퇴계학논총,
v.0,
2023,
pp.39-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