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54건 중 454건 출력
, 2/46 페이지
-
11
-
『삼국유사』의 ‘사(師)’와 일연(一然)의 승려 인식
-
김희만;
;
(한국학,
v.42,
2019,
pp.91-127)
-
12
-
일연(一然)의 가요 기술상 특징과 수용태도
-
이영태;
;
(국어국문학,
v.117,
1996,
pp.159-173)
-
13
-
Mongol Invasions and Ilyeon(一然), in the 13th century
-
Yoon, Yong-hyuk;
;
(한국중세사연구,
v.69,
2022,
pp.107-140)
-
14.
- 삼국유사 가온누리 콘텐츠 연구 : 일연 문화관 건립을 중심으로
- 이영미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77, 2018
-
15
-
『삼국유사(三國遺事)』 「감통(感通)」편(篇) 연구 : 일연(一然)의 대중교화관(大衆敎化觀)을 중심으로
-
명계환;
동국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21,
pp.75-102)
-
16
-
보각국사(普覺國師) 일연(一然)의 사상(思想) 일고(一考)
-
명계환;
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;
(정토학연구(淨土學硏究),
v.0,
2019,
pp.215-244)
-
17
-
一然의 『重編曹洞五位』에 보이는 사상과 역사성
-
채상식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2,
2012,
pp.217-242)
-
18
-
강이야기 1 - 삼국유사의 현장 위천(渭川), 그리고 군위 인각사(麟閣寺)와 일연(一然)스님
-
김기빈;
한국토지공사/중앙지명위원회;
(하천과 문화 = River and culture,
v.6,
2010,
pp.44-47)
-
19
-
一然 연구의 현황과 과제
-
채상식;
;
(동양한문학연구,
v.23,
2006,
pp.5-32)
-
20
-
一然禪師 浮屠의 調査
-
黃壽永;
;
(考古 美術,
v.4,
1963,
pp.455-4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