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사단(四端)에 대한 주리(主理)적 해석 - 퇴계와 농암의 논의를 중심으로 -
-
김지은;
고려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37,
2018,
pp.205-234)
-
12
-
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
-
이치억;
;
(儒敎 思想 硏究,
v.45,
2011,
pp.93-115)
-
13
-
주희 기질변화와 성인됨의 의미-평범한 사람의 성인 가능성 고찰
-
손미애;
전북대학교;
(유학연구,
v.67,
2024,
pp.167-190)
-
14
-
晦齋 林居詩의 사물 접근 방법과 그 인식론적 의의
-
신태수;
영남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19,
pp.9-42)
-
15.
- 간재의 심론과 명덕설 연구
- 유지웅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55 p., 2016
-
16
-
중화설의 전개와 율곡학파의 미발인식
-
이선열;
성균관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35,
2017,
pp.217-248)
-
17
-
18세기 호락논변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 - ‘理通氣局說’을 중심으로
-
이천승;
성균관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28,
2014,
pp.37-58)
-
18.
-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: '擊蒙要訣'과 '學校模範'을 중심으로
- 김영애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0 장, 2003
-
19.
- 남계 박세채의 심설에 관한 연구
- 김정철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2 p., 2010
-
20
-
鹿門 任聖周 “聖凡心同”설 芻議 ―“理氣同實”을 기반으로 도덕을 성취하는 체계―
-
안재호;
중앙대학교;
(철학탐구,
v., 69,
2023,
pp.1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