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2/19 페이지
-
11
-
정인보의 한국불교에 관한 인식과 탐구
-
여희정;
대지고등학교;
(동양학,
v.0,
2021,
pp.147-168)
-
12
-
정인보의 교육사상과 민족교육
-
김윤경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교육철학연구,
v.42,
2020,
pp.1-27)
-
13
-
위당 정인보의 한글 인식과 한글 글쓰기
-
이지원;
대림대학교;
(학림,
v.48,
2021,
pp.453-490)
-
14
-
정인보의 실심(實心)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
-
김지원;
연세대학교;
(교육철학연구,
v.43,
2021,
pp.59-83)
-
15.
- 정인보의 본심감통론(本心感通論)에 대한 도덕교육적 해석
- 강지수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44, 2025
-
16
-
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
-
이남옥;
;
(한국학,
v.46,
2023,
pp.53-80)
-
17
-
담원 정인보의 자녀교육
-
진성수;
;
(양명학,
v.0,
2020,
pp.69-106)
-
18.
- 정인보의 인문학적 사유에 의한 민족주체사상 연구
- 배연숙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97 p., 2012
-
19.
- 生理와 感通에 관한 연구 : 정제두와 정인보를 중심으로
- 조은덕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92, 2017
-
20
-
위당 정인보론
-
김영;
인하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396-4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