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영조의 제왕학과 『御製自省編』
-
김문식;
단국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12,
pp.234-262)
-
12
-
제왕학의 구축에 있어서 李珥「太極」개념의 역할
-
박영우;
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7,
2022,
pp.35-69)
-
13
-
The Development of Kingly-Stud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King Jeongjo’s Theory on Hwanggeuk(皇極)
-
NA, Jonghyun;
;
(泰東古典硏究 = Tae-dong review of classics,
v.51,
2023,
pp.317-347)
-
14
-
The Imperial Theory of the Early Mongolian Imperial Court through the Lens of the Zhanranjushiwenji by Yeluchucai
-
Lee, Jin-myung;
;
(哲學硏究 : 대한철학회논문집 =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,
v.169,
2024,
pp.319-346)
-
15
-
순암 안정복과 담헌 홍대용의 동궁(東宮)교육에 투영된 제왕학
-
육수화;
한국고전번역원;
(교육철학,
v.0,
2021,
pp.53-87)
-
16
-
조선시대 『심경(心經)』 연구의 흐름과 분기(分岐)-제왕학적 계기와 심학적 계기의 구별을 중심으로-
-
정대진;
영남대학교;
(태동고전연구,
v.50,
2023,
pp.191-224)
-
17
-
순암 안정복과 담헌 홍대용의 동궁(東宮)교육에 투영된 제왕학
-
육수화;
한국고전번역원;
(교육철학,
v.0,
2021,
pp.53-87)
-
18
-
야율초재(耶律楚材)의 『잠연거사문집(湛然居士文集)』을 통해 바라본 초기 몽골 황실의 제왕학
-
이진명;
홍익대학교;
(철학연구,
v.169,
2024,
pp.319-346)
-
19
-
조선중기의 경연과 제왕학 - 광해군~현종년간을 중심으로 -
-
정재훈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4,
pp.115-146)
-
20
-
원(元)의 도통론 - 건륭제 『御纂周易述義』의 제왕학 연구 -
-
박영우;
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0,
pp.233-2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