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조병화 시론 연구
-
김삼주;
가천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4,
pp.155-178)
-
12
-
A Study on Existentialism and Humanism in the Poetics of the 1950s - Focusing on Park In-hwan, Jo Byeong-hwa, and Jeon Bong-geon -
-
Park, Min-kyu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80,
2023,
pp.367-405)
-
13
-
죽음 의식과 삶의 언어 - 조병화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-
-
홍용희;
경희사이버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6,
2014,
pp.311-336)
-
14
-
미래의 의학-시인이 생각하는 30년 후의 의학
-
조병화;
경희대 문리대학;
(건강소식,
v.3,
1975,
pp.19-20)
-
15
-
Four Quartets : Defeated Anima
-
Byung-Hwa Joh;
;
(T.S.엘리엇연구 = Journal of the T.S. Eliot Society of Korea,
v.2009,
2009,
pp.209-234)
-
16
-
조병화 시의 역설적 의미 구조 연구
-
오형엽;
고려대학교;
(어문연구,
v.108,
2021,
pp.143-170)
-
17
-
순수 고독, 순수 허무의 시학 - 조병화의 『넘을 수 없는 세월』을 중심으로
-
이재복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12,
2012,
pp.269-291)
-
18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단독자 의식 연구
-
김삼주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33,
2014,
pp.5-44)
-
19
-
에너지 화제 - 석탄-
-
조병화;
대한석탄공사;
(에너지協議會報 = Korea Energy Forum bulletin,
v.11,
1989,
pp.62-63)
-
20
-
조병화 시에 나타난 유학적 상상력 연구
-
이상호;
한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15,
pp.187-210)